1. 5년간 우체통서 발견된 현금만 20억원…분실물은 754만개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가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방송위원회 윤상직 의원(자유한국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이후 올해 8월까지 지갑 등에 든 채 우체통에서 발견된 현금은 19억6천만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연락처가 확인돼 분실자에게 직접 송부된 현금은 1.5%인 3천만원에 불과했으며 연락이 닿지 않아 경찰서로 송부된 현금은 19억3천만원이었다. 경찰서로 송부된 현금은 접수 후 9개월이 지나도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국고로 귀속된다. 우체통에서 발견된 현금은 2014년 3억5천만원에서 2015년 3억7천만원, 2016년 4억5천만원, 작년 4억7천만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 1~8월에는 약 3억2천만원이 발견돼 월평균 기준으로 작년 수준인 4천만원을 유지했다.
한국의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일본의 거품경제 당시 부동산 가격 급등에 이은 폭락사태를 종종 떠올리는 경우가 있다. 일각에서는 부동산 폭락과 장기 경기침체를 겪은 일본 사례를 일종의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하지만 다른 쪽에서는 일본과 한국과는 사정이 다르다는 주장도 있다. 우선 일본은 1980년대 중반 토지·주택 신화가 있었다. 당시엔 문자 그대로 자고 나면 땅값과 집값이 뛰었다. 은행에서는 토지와 주택 소유자에게 향후 가격 인상분까지 감안해 담보 대출을 해줬다. 일본 정부도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오히려 정부는 버블을 조장하기까지 했다. 1985년 플라자 합의로 엔화가치가 급등하자 통화당국은 경기위축을 막고 내수를 활성화하고자 과도하게 금융완화정책을 펼쳤다.
9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7∼8월 두 달 동안 공급예비율은 7월 23∼27일, 8월 13∼14일 등 7일을 제외하고 모두 두 자릿수 이상을 유지했다. 최대전력수요가 역대 최고치를 찍은 7월 24일에는 예비율이 7.7%까지 낮아졌지만, 이때도 공급 가능한 전력과 수요의 차이를 의미하는 공급예비력은 709만kW에 달했다. 예비력이 500만kW 이하로 떨어지면 전력수급 위기경보 준비 단계에 들어가는데 200만kW 정도 여유가 있었던 것이다. 특히 전기 사용 자체를 줄이는 수요관리 정책을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공급이 충분했다. 기업이 전기 사용을 줄이면 정부가 보상하는 수요감축요청(DR)은 지난겨울에 10번 사용했지만, 올해 여름에는 기업에 부담될 수 있고 DR 없이도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고 판단해 발령하지 않았다.
*출처 : http://news.naver.com/
'자유롭게 > 주요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뉴스 2018.09.09 (8) (0) | 2018.09.09 |
---|---|
주요뉴스 2018.09.09 (7) (0) | 2018.09.09 |
주요뉴스 2018.09.09 (5) (0) | 2018.09.09 |
주요뉴스 2018.09.09 (4) (0) | 2018.09.09 |
주요뉴스 2018.09.09 (3) (0) | 2018.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