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실행 기능만큼 다채로운 이력을 지닌 기능은 사실 윈도우에서 그다지 많지 않다. 초기에는 악성 USB를 통해 PC로 바이러스를 옮긴다는 불명예를 썼고, 최근 윈도우 버전에서는 PC에 악성 파일이 자동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기본 설정이 비활성화돼 있었다.
자동 실행의 편리한 점은 SD 카드, USB 드라이브, 외장 CD 플레이어 등 미디어 및 장치를 PC와 연결할 때 어떤 후속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지 미리 정해둘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 자동 실행으로 자동으로 사진이나 영상 폴더가 열리거나 파일 탐색기가 뜨도록 할 수 있다.
자동 실행에서 가장 유용한 옵션은 ‘아무 작업 안 함’이나 ‘매 번 확인’이 될 것이다. 아니면 ‘폴더를 열어 파일 보기(파일 탐색기)’ 옵션을 설정해 둘 수도 있다.
윈도우 10 1주년 업데이트 적용 후 자동 실행 설정 방법을 알아보자.
시작 > 설정 > 장치 > 자동 실행으로 이동한다. 맨 위에서 모든 미디어에 자동 실행을 사용하는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다. 아래 부분은 PC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필자의 노트북은 이동식 드라이브와 메모리 카드 관련 설정이 있다.
각 미디어의 선택 옵션에서 ‘아무 작업 안 함’, ‘폴더를 열어 파일 보기’, ‘매 번 확인’, ‘이 드라이브를 백업용으로 구성’, ‘저장 공간 설정 구성’이라는 옵션 중 사용자에게 알맞은 것을 선택한다. 직접 파일 탐색기를 살펴보는 것을 선호하면 ‘아무 작업 안 함’을 선택하는 식이다.
각각의 이동식 미디어에 대한 자동 실행 방식을 더 자세히 조정하고 싶으면, 제어판으로 이동한다. 시작 버튼을 우클릭해 제어판으로 이동한다. 오른쪽 위 ‘보기 기준’에서 범주를 ‘큰 아이콘’으로 설정한다. 가나다 순으로 정렬되는 여러 기능 중 ‘자동 실행’을 찾아 클릭한다.
제어판 > 자동 실행에서는 드라이브에 담긴 미디어 유형 별로 작업을 선택하고 세부 지정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 그러나 자동 실행이 바이러스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명심하자.
물론 자동 실행을 비활성화하지 않고도, 스택 익스체인지 등 외부 미디어를 연결하면 바로 간단하게 자동으로 바이러스를 탐지하는 소프트웨어의 힘을 빌릴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신뢰할 수 없거나 출처를 알 수 없는 USB 드라이브를 함부로 PC와 연결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원칙적으로는 자신의 USB라고 해도 무결하다고 믿어서는 안 된다. editor@itworld.co.kr
Read more: http://www.itworld.co.kr/news/100671#csidxe48361353295f538727b4ecdc30cd42
Copyright © LinkBack
'자유롭게 > it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전세계 정보 보안 지출 7.9% 증가”...가트너 (0) | 2016.08.16 |
---|---|
레노버, 48TB SSD 스토리지 보드 공개…내년 중반 출시 목표 (0) | 2016.08.16 |
갤럭시 노트 7의 홍채 스캐너가 쓸모없는 이유 (0) | 2016.08.12 |
“서로 다른 배포판의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사용” 베드록 리눅스의 도전 (0) | 2016.08.12 |
“양성평등과 다양성까지 담았다” iOS 10과 맥OS 시에라의 이모티콘 분석 (0) | 2016.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