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오수희 기자 = 미세먼지나 환경호르몬 같은 유해물질이 닿으면 색깔이 변하는 스마트 창문이 개발될 길이 열렸다.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은 26일 오후 교내 삼성산학협동관에서 스마트 창호 시스템 개발을 가능하게 할 '박테리오파지 기반 신개념 인공 코 기술' 원천 특허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인공 코(artificial nose)는 지난해 부산대 오진우(나노에너지공학과) 교수와 김규정(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가 특이 물질에 반응해 색이 변하는 빛깔 센서를 기반으로 개발한 신기술이다.
인간 코로는 감지할 수 없는 ppb(10억분의 1) 단위의 극미량 화합물을 검출할 수 있어 물질의 존재 여부뿐 아니라 종류까지 구분이 가능한 획기적인 기술이다.
이번 협약으로 부산대 산학협력단이 보유한 인공 코 기술과 창호 기업인 ㈜윈체가 보유한 창호 기술이 접목돼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 또는 환경호르몬을 감지할 수 있는 스마트 창호 개발이 길이 열렸다.
양 기관은 스마트 창호의 상용화를 위해 지속해서 협력하기로 했다.
연구개발 분야 전문가 활용과 교육·훈련·자문·정보자료 등 인적·정보 교류 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윤석영 부산대 산학협력단장은 "미래지향적이고 친환경적인 창호 시스템 개발에 부산대와 국내 최고 수준의 창호 기업인 ㈜윈체가 협력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osh9981@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8/04/27 08:13 송고
'자유롭게 > it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가정의달 제휴사 '더블할인 멤버십' 혜택 확대 (0) | 2018.04.27 |
---|---|
네이버 日자회사, 언론 콘텐츠 34만건 무단전재했다 삭제키로 (0) | 2018.04.27 |
대구 기업에 맞춤형 연구개발 지원…27일 통합설명회 (0) | 2018.04.26 |
한컴그룹 "올해가 스마트시티 첫걸음…블록체인 적용" (0) | 2018.04.26 |
KT-대교, 키즈·교육 콘텐츠 사업 MOU (0) | 2018.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