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종합]청와대 "北 연락사무소 폭파 유감…강력 대응할 것"
청와대는 16일 북한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청사를 폭파한 것과 관련해 강력 대응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청와대는 "북측이 상황을 계속 악화시키는 조치를 취할 경우 우리는 그에 강력히 대응할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날 폭파 소식이 전해진 이후인 오후 5시 5분부터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1시간가량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개최한 뒤 이런 입장을 내놨다.김유근 NSC 사무처장은 상임위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정부는 오늘 북측이 2018년 판문점선언에 의해 개설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건물을 일방적으로 폭파한 것에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김 사무처장은 "북측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파괴는 남북관계의 발전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바라는 모든 이들의 기대를 저버린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정부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사태의 책임이 전적으로 북측에 있음을 분명히 한다"고 강조했다.그동안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대화와 협력을 강조해온 청와대가 북한을 향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2. [단독] 중국 기술유출 논란 40년 삼성맨, 중국행 포기
중국 반도체기업 부회장으로 선임돼 ‘중국의 한국 기술 빼가기’ 논란이 일었던 ‘40년 삼성맨’이 최근 중국 회사를 그만뒀다.16일 재계에 따르면 중국 시스템반도체 설계 생산 업체 에스윈 부회장으로 부임한 장원기 전 삼성전자 사장이 사직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고위인사는 “장 전 사장이 중국 회사 부회장으로 갔다는 소식이 알려진 뒤 여러가지 오해와 추측성 보도가 쏟아져 상당히 괴로워했다”며 “오랫동안 일한 회사(삼성전자)와 후배들에게 조금이라도 누를 끼쳐서는 안된다는 생각에서 중국 회사를 그만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장 전 사장은 1981년 삼성전자에 입사해 LCD사업부(삼성디스플레이의 전신) 사장 시절이던 2009년 중국 쑤저우에 한국 기업으로선 첫 LCD패널 공장 투자를 결정했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삼성그룹의 중국 사업을 총괄 지원하는 삼성중국의 사장을 맡기도 했다. ‘40년 삼성맨’이 중국이 한국을 추격하는 반도체 업종의 중국 기업 경영진에 들어가자, 중국의 핵심 인력·기술 빼가기에 대한 우려 목소리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