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시민이 보유한 전자기기,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에 대한 권리의 문제다.


이 권리가 공격받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들은 도구에 있어 범죄자는 물론이고


정부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다.


물론 이런 도구가 최악의 범죄에 잘못 사용될 위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테러만큼 위험하지는 않지만 흔히 발생하는


온갖 범죄에서 사용자의 디지털 라이프를 보호하고,


언론의 자유, 시민권을 보호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도구이기도 하다.


기사의 이 부분이 핵심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해외에서는 이런 기사가 나오는 가운데 국내는


"테러방지법"이라는 이름만 멀쩡한...


사실상 본인들이 원하면 도청이든 추적이든 뭐든 하겠다는


뻔뻔한 법안이 통과되려 하고 있죠 ㅋㅋㅋㅋ


앞으로 5년만 내다보고...


전 해외로 가겠습니다.






출처 : ITWORLD.CO.KR
http://www.itworld.co.kr/news/98003 

 

+ Recent posts